HOME > KIN > HRDNET 고용24 통합

HRDNET 고용24 통합

greenhomeforum | 1:29 오후 | 2024년 11월 22일

HRD-Net이 고용24로 통합되면서 변화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HRD-Net은 대한민국의 직업훈련 포털로, 1998년부터 국민들에게 다양한 직업훈련 정보를 제공하며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아왔습니다. HRD-Net은 직업훈련 과정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2011년부터는 민간 교육기관과 지자체의 훈련 정보까지 통합하여 한 곳에서 다양한 직업훈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는 국민들이 여러 교육 사이트를 돌아다니지 않아도 HRD-Net 누리집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러나 HRD-Net은 그 한계도 분명했습니다.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만큼 최신 훈련 정보 업데이트가 늦거나, 일부 훈련 과정에 대한 상세 정보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국민들은 민간 교육 포털을 병행해 사용해야 했고, HRD-Net의 신청 절차도 사용자에게는 번거로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정보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었는데, 이미 종료된 훈련 과정이 오랜 시간 동안 업데이트되지 않거나 정보가 부정확한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고용24 홈페이지 바로가기

간단하게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로 쉽게 방문할수 있습니다.

결국 HRD-Net은 고용24로 통합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2024년 9월 23일, HRD-Net은 고용24로 통합되었습니다. 고용24는 단순히 HRD-Net의 이름을 바꾼 것이 아닙니다. 고용24 누리집은 HRD-Net뿐만 아니라 워크넷, 고용보험, 국민취업지원제도, 외국인 고용 허가 등 총 9개의 고용 관련 서비스를 하나의 포털로 통합한 새로운 고용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이는 다양한 서비스를 한곳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입니다.

이 서비스는 구직자와 구인 기업 모두에게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개인은 이 서비스를 통해 일자리 검색, 이력서 등록, 실업급여 및 출산휴가급여 신청, 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 등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기업은 인재 검색, 고용 장려금 신청, 근로자 훈련 신청, 이직확인서 및 출산휴가확인서 작성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고용24라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정부의 고용 정책과 관련된 것이라면 모두 이 서비스에서 가능하게 된것이지요.

고용24의 주요 특징

고용24는 기존 워크넷보다 훨씬 더 진보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우선,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구직자에게 맞춤형 일자리 추천 및 직업 훈련 과정을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히 일자리 정보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이력서와 경력, 관심 분야를 분석해 가장 적합한 정보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구직자들의 요구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고용24는 실시간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채용 정보와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이 더 빠르고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모바일 앱도 제공되어, 구직자와 기업 모두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성 향상은 특히 바쁜 일정을 가진 구직자와 기업에게 큰 이점이 됩니다.

고용24와 HRD-Net의 차이점 정리

HRD-Net과 고용24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통합입니다. HRD-Net은 직업훈련 정보 제공에 집중된 서비스였던 반면에, 고용24는 직업훈련 정보뿐만 아니라 일자리 정보, 고용 보험, 정부 지원금 신청 등 다양한 고용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HRD-Net에서는 훈련 과정을 검색하고 수강 신청을 할 수 있었지만, 고용24에서는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한 훈련 신청부터 구직 활동, 실업급여 수급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포털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용24는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정보 제공 외에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 다양한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생체 인식 기술을 도입하는 등 보안 측면에서도 많은 발전을 이루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