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미분류 > 바둑 규칙 안내

바둑 규칙 안내

greenhomeforum | 6:35 오후 | 2024년 03월 16일

바둑은 두 명의 선수가 흑과 백의 바둑돌을 번갈아 놓으며 집을 만들어 승패를 결정하는 전략적인 경기입니다. 한국에서 진행되는 바둑 경기는 한국기원의 “바둑규칙”을 따릅니다.

바둑 배우는 방법

바둑 배울 때 어렵다문 위 링크로 들어가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1. 바둑의 개요

바둑은 바둑판 위의 교차점에 돌을 놓아 집을 만들고, 상대방의 돌을 포획하며 진행됩니다. 최종적으로 집과 잡은 돌의 수를 합산하여 승패를 결정합니다.

2. 바둑 용구

  • 바둑판: 가로·세로 19줄의 평행선이 교차하는 361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바둑돌: 흑돌 181개, 백돌 180개가 표준입니다.
  • 바둑통: 바둑돌을 담는 도구로, 뚜껑은 잡은 돌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3. 바둑돌 놓기(착점)

  • 흑이 먼저 착수하며, 이후 번갈아가며 돌을 놓습니다.
  • 돌은 반드시 교차점에 놓으며, 한 번 놓은 돌은 이동할 수 없습니다.

4. 돌의 활로와 따냄

  • 활로: 돌과 연결된 인접 교차점을 의미합니다.
  • 따냄: 상대방의 활로를 모두 차단하면 돌을 들어내며, 이를 ‘따냄’이라 합니다.

5. 착수금지

  • 활로가 없는 곳에는 착수할 수 없습니다. 단, 상대방의 돌을 따낼 경우 착수 가능합니다.

6. 돌의 삶과 죽음

  • 활로가 모두 차단된 돌은 ‘죽은 돌’이며, 그렇지 않으면 ‘산 돌’입니다.

7. 패

  • 서로 번갈아가며 같은 돌을 계속 따낼 수 있는 경우를 ‘패’라 하며, 패를 따내려면 다른 곳에 한 번 착수해야 합니다.

8. 집과 공배

  • : 살아 있는 돌로 둘러싸인 공간.
  • 공배: 집이 될 수 없는 중립적인 교차점으로, 차례대로 둘 수 있습니다.

9. 빅

  • 서로 따낼 수 없는 형태가 형성될 경우, 해당 지역은 집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10. 동형반복

  • 동일한 형태가 반복되면 무승부 처리됩니다. 단, 한쪽만 반복이 가능하면 해당 색이 반복 시 무승부로 처리됩니다.

11. 경기 종료

  • 더 이상 둘 곳이 없으면 상대에게 넘기며, 연속으로 넘길 경우 경기가 종료됩니다.

12. 계가와 승패 결정

  • 잡은 돌로 상대방의 집을 메우고, 최종적으로 집이 많은 쪽이 승리합니다.

이 규칙은 한국기원의 바둑 규칙을 기반으로 정리되었습니다. 바둑을 즐기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